왜 지금 달러 투자가 중요한가?
2025년 11월 현재, 달러 환율은 여전히 1,400원 근처를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1,300원대였는데, 불과 1년 만에 100원 가까이 오른 셈이죠.
이건 단순한 숫자 변화가 아닙니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뜻이에요.
즉, 지금 1만 원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작년보다 줄어든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시기에는 원화를 그대로 은행에 넣어두기보다,
달러로 바꿔 두는 것이 훨씬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달러는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정적인 통화이고,
미국이 높은 기준금리를 유지하면서 달러 예금 금리도 자연스럽게 상승했어요.
따라서 지금은
“달러로 투자하면서 안정성도 챙기고, 이자 수익까지 얻을 수 있는 시기”
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은행 달러 정기예금 – 가장 쉬운 첫걸음
달러 투자를 처음 해본다면 **‘달러 정기예금’**이 가장 무난합니다.
은행에서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 일정 기간 예치하면, 달러로 이자를 주는 상품이에요.
예를 들어,
- 신한은행 ‘쏠(SOL) 외화정기예금’ – 3개월 금리 약 3.8%
- 하나은행 ‘하나 외화정기예금’ – 6개월 금리 약 3.7%
금리는 원화 예금보다 높고, 안정성도 뛰어납니다.
게다가 예금자 보호(금융기관별 1억 원 한도)도 적용돼요.
단, 예치 기간을 최소 7일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7일 이내에 인출하면 **달러 현찰 수수료(약 1.5%)**가 붙어 손해를 볼 수 있어요.
예시로 계산해볼까요?
박씨가 1만 달러를 3개월 정기예금(금리 3.8%)에 넣으면,
3개월 뒤 받을 이자는 약 95달러(세전) 입니다.
환율이 1,350원 → 1,400원으로 오르면, 환차익으로 50만 원의 추가 수익까지 기대할 수 있죠.
장점: 안정성, 예금자 보호, 달러 강세 시 환차익 가능
단점: 금리는 다소 낮고, 환전 수수료가 있음
2. 달러RP와 달러 발행어음 – 짧게 굴려도 이자 쏠쏠
조금 더 높은 수익을 원한다면 증권사의 단기 외화상품이 좋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달러RP(외화RP) 와 달러 발행어음이 있어요.
달러RP(외화RP)
RP는 ‘환매조건부채권’의 약자예요.
증권사가 보유한 달러 표시 우량채권을 담보로 맡기고, 일정 기간 뒤 다시 사주는 구조입니다.
쉽게 말하면,
“증권사가 채권을 맡겼다가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다시 찾아가는 구조”
예를 들어,
이씨가 미래에셋증권에서 달러RP를 1개월 만기, 연 3.5% 금리로 가입하면,
한 달 뒤 약 14.5달러(세전) 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짧은 기간이라도 원화 예금보다 수익률이 훨씬 높아요.
장점: 담보가 있어 안정적, 단기 운용 가능, 유동성 높음
단점: 예금자보호는 안 됨
달러 발행어음
달러RP보다 한 단계 더 높은 금리를 원한다면 달러 발행어음이 있습니다.
이건 증권사가 직접 발행하는 어음으로, “우리에게 달러를 맡기면 이자를 드릴게요”라는 약속이에요.
현재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등 대형 증권사의 달러 발행어음 금리는
연 4.2% 수준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1개월, 3개월, 6개월 단기 투자도 가능하죠.
예시
김씨가 10,000달러를 NH투자증권의 달러 발행어음(연 4.2%, 6개월)에 넣으면,
6개월 뒤 210달러(세전) 의 이자를 받습니다.
여기에 환율이 오르면 환차익까지 더해져
원화 기준으로 약 70~80만 원의 차익이 발생할 수 있어요.
장점: 높은 금리, 단기 투자 가능, 대형 증권사 중심이라 신뢰도 높음
단점: 담보 없음, 증권사 신용 위험 존재
3. SGOV ETF – 미국 단기 국채에 투자하기
이제 조금 더 글로벌한 방법으로 가볼까요?
바로 SGOV ETF입니다.
SGOV는 미국 정부가 발행한 3개월 이하 단기 국채에 투자하는 ETF예요.
운용사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 입니다.
미국 정부의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라 부도 위험이 거의 없고,
2025년 11월 현재 연 4.35% 내외의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은행 예금보다 수익률이 높고, 증권사 발행어음보다 안정성도 뛰어나죠.
최근 52주간 SGOV의 가격 변동폭은 100.15~100.74달러,
거의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입니다.
이 때문에 “달러 현금 대신 SGOV를 보유한다”는 투자자도 많아요.
예를 들어,
정씨가 해외주식 계좌를 통해 SGOV ETF를 10,000달러어치 매수하면,
매달 약 35~40달러 정도의 배당을 받게 됩니다.
(연 환산 수익률 약 4.3%)
장점: 미국 국채 기반, 안정성 최고, 매월 이자 지급
단점: 해외주식 계좌 필요, 인출하려면 ETF매도후 2영업일 필요
“환전이 어렵다”? 이제는 손끝으로 가능한 시대
많은 사람들이 “달러 투자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환전도 번거롭고, 영어로 된 ETF는 낯설고, 뭔가 위험해 보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요즘은 생각보다 훨씬 쉽습니다.
예를 들어,
- 신한은행 SOL, 하나원큐, KB스타뱅킹 같은 앱에서는
몇 번의 터치로 원화를 달러로 환전할 수 있어요.
환율우대 90% 이벤트도 자주 열립니다. - 미래에셋 m.Stock, 한국투자증권 영웅문S, NH투자증권 QV 앱에서도
원화 → 달러 환전 후 바로 달러RP, 발행어음, ETF 매수까지 한 번에 가능해요.
예를 들어,
하나은행 앱에서 100만 원어치를 달러로 바꾸면 약 710달러 정도를 받을 수 있고,
그걸 NH투자증권 앱으로 옮겨서 달러 발행어음에 바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예전처럼 은행 창구에 가서 서류를 작성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즉, “달러 투자는 이제 스마트폰으로 10분이면 끝나는 투자”예요.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고, 안전하며, 합리적인 선택이 된 시대입니다.
마무리 정리
요즘처럼 환율이 높고 원화 가치가 약해지는 시기에는
달러 자산으로 분산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입니다.
- 은행 달러 정기예금 → 안정적인 첫걸음
- 달러RP / 발행어음 → 짧은 기간, 높은 금리
- SGOV ETF → 글로벌 단기채로 안정적 수익
이 세 가지를 조합하면 원금을 지키면서도 연 4~5%대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한 줄 요약:
“환전이 어렵다고 망설이지 마세요.
요즘은 앱으로 10분이면 달러 투자가 가능합니다.
원화 약세 시대, 달러로 자산을 지키는 사람이 결국 웃습니다.”